역류성식도염이란...


1.식도는 입에서 섭취한 음식물을 위까지 전달하는 통로로 위로 내려간 음식물이 식도로 거꾸로 넘어오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합니다. 

2.그러나 위장에 머물러 있어야 할 위산이나 펩신 등의 위액이 식도로 거꾸로 넘어오면서 식도의 점막을 자극하여 염증을 일으키는 질환을 말합니다. 

3.심한 경우 식도의 점막에 궤양이나 출혈을 일으키기도 합니다.









역류성 식도염의 발생원인


1.역류성 식도염의 가장 큰 이유는 위와 식도가 굳어진 담적병 때문입니다. 위, 식도가 담적병에 걸리면 음식을 아래로 내려 보내지 못해 음식정류하게 되는데 하부 장관의 가스가 위로 

상층하면서 음식과 위산을 역류시키는 것입니다. 내과에서 역류성 식도염 치료를 해도 약 먹을 때 뿐이고 재발을 하는 것은 위, 식도가 굳어진 현상을 치료하지 못하기 때문입니다.

2.드물게는 하부식도괄약근이 제 기능을 못해 위산이나 펩신 등 위액이 식도로 거꾸로 넘어오는 경우도 있다. (하부식도괄약근: 식도 하부의 기능적 괄약근 작용을 하며, 음식물을 위로 보내는 역할, 위로부터 역류를 예방하는 기능)

3.산성인 위액이나 알카리성 장액이 역류에 의해 식도 점막이 손상을 입히기 때문이다.

4.잠자기 직전 술을 마시거나 야식을 먹는 경우, 담배를 자주 피우는 경우에도 발생한다.

5.위 정체증후군, 위산 과다분비로 인한 위 안의 내용물이 늘어난 경 

6.비만, 임신, 복수 등으로 위압이 높아진 경우 역류


역류성식도염의 증상


1.복부 통증과 소화불량, 불쾌감, 입 냄새, 쉰 목소리가 발합니다.

2.목에 이물질이 걸린 듯한 느낌이 들며, 목 쓰림, 가슴이 답답해집니다.

3.원인 모를 기침이나 천식, 폐렴 등 만성 후두질환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4.가슴 통증과 함께 목소리가 변화되기도 합니다.

5.음식물이 중간에 걸려 내려가지 않거나 내려가도 힘들게 내갑니다.


역류성 식도염 치료


치료는 굳어진 위와 식도 근육조직을 풀어내는 담적 치료가 위주가 됩니다.